IT정보

60Hz 주사율 TV에서 VRR(가변 주사율)이 지원되나? G-Sync와 FreeSync

넙티비 2025. 1. 27. 13:10
반응형

G-Sync

 

VRR(Variable Refresh Rate) 기술은 대부분 120Hz를 지원하는 TV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VRR은 가변 주사율이라는 말로 주로 게임을 즐기시는 분들에게 중요한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되는 것이 꼭 120Hz를 지원하는 TV에만 들어가는 기술인지입니다. 

VRR(Variable Refresh Rate)

  • VRR(Variable Refresh Rate)은 TV의 주사율과 주변 기기에서 들어오는 콘탠츠의 주사율이 맞지 않을 때 일어나는 화면 끊김이나 찢어짐을 줄여주는 기술입니다. 
  • VRR은 48Hz~120Hz에서 일반적으로 작동하며, 낮은 프레임 속도 48fps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 VRR은 HDMI 2.1의 표준으로 작동하므로 HDMI 2.0과 60Hz를 지원하는 TV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HDMI 2.0b와 FreeSync Lite의 조건에서도 지원되기도 하지만 아주 드문 경우입니다. HDMI 2.0 포트에서는 VRR 기능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을 수 있어서 입니다.
  • VRR이 단독으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요즘 대부분 TV에서는 엔비디아의  G-Sync와 AMD의 FreeSync를 통해서 더욱 최적의 가변 주사율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 콘솔 환경에서 HDMI 2.1이 활성화 되면 VRR이 우선 지원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FreeSync : BenQ

엔비디아의  G-Sync와 AMD의 FreeSync

  • 엔비디아의  G-Sync와 AMD의 FreeSync 모두 VRR을 기반으로 하여 각 제조사가 발전시킨 기술입니다.
  • 엔비디아의  G-Sync는 GPU나 모니터 등 하드웨어가 기술을 지원하는 제품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서 제한적이고, 유료 라인선스이기 때문에 부담이 있지만 엔비디아의 엄격한 기술 표준이기 때문에 VRR를 더욱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AMD의 FreeSync는 무료 라이선스로 많은 TV 제조사가 적용하는 표준입니다. FreeSync, FreeSync 프리미엄, FreeSync 프리미엄 프로로 등급이 나뉘고 각 등급마다 하드웨어 인증 표준이 있어서 이 인증을 통과해야 등급 버전을 탑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reeSync 프리미엄 프로 정도 탑재한 TV의 경우 하드웨어 스펙이 고급이라고 볼수도 있습니다.

결론

VRR 기능은  HDMI 2.0과 60Hz를 지원하는 TV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VRR의 더 발전된 기능이 엔비디아의  G-Sync와 AMD의 FreeSync이며, 이 기술들도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서 다양한 등급이 존재합니다. G-Sync와 FreeSync 등급이 높아질수록 하드웨어 성능이 뒷받침 되어야 하므로 높은 등급의  G-Sync와 FreeSync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제품의 내부 스펙이 높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VRR이나 G-Sync와 FreeSync 기능은 주로 게임에 관련된 기능일 수 있어서 영상 감상만 하시는 분들에게는 몰라도 되지만, 기능이 있다고 나쁘지는 않고 대부분 고급 TV의 경우는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