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몇 년 전만해도 DLED, ELED 방식만 설명해도 되었는데 이제는 TV 종류가 많아지다보니 TV의 백라이트 방식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에 관해 업데이트 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DLED(Direct LED)
-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인 LED가 패널 뒷편에 고르게 배치된 LED 방식의 TV를 DLED TV라고 부릅니다.
- 주로 저가형 보급형 TV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수십개 정도의 LED를 광원으로 배치합니다.
- LED를 직접 제어하는 기능이 없어서 전체적으로 밝기를 줄여서 명암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이를 글로벌 디밍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LED를 직접 제어하지 못하므로 검정색을 표현할 때 어두운 회색으로 표현됩니다.
ELED(Edge LED)
- DLED 방식과 대비되는 방식으로 화면 가장자리에 LED를 배치하는 방식입니다.
- 주로 보급형 TV나 중급형 TV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 예전엔 ELED 방식의 TV가 아주 저가형에만 적용되는 방식이라고 인식되었지만 요즘은 기술이 발달되어 DLED 방식 TV보다 더 나은 밝기와 화질의 제품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LED 광원을 구석까지 보내기 위해 광학 시트(확산판, 프리즘 시트)를 보강합니다.
- LED 숫자는 DLED TV보다 적게 들어가지만 기타 부품의 추가로 원가가 상승됩니다.
- 아주 얇게 TV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LED 숫자가 많지 않으므로 소비 전력이 낮을 수 있습니다.
- 명암비가 낮고 화면 중간 밝기가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습니다.
FALD(Full Array Local Dimming)
- DLED 방식과 유사하지만 LED 개수가 수백개 이상으로 로컬디밍존을 구성할 수 있는 방식을 FALD라고 부릅니다.
- DLED와 FALD를 정확한 수치나 값으로 구분하는 공식적인 기준은 없는 듯 보입니다.
- FALD 방식의 TV는 대부분 미니LED급의 중상급 이상의 TV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기능이 로컬디밍존을 나눠서 세밀하게 명암비를 구현하는 여부입니다.
Mini LED
- Mini LED 백라이트 방식은 FALD 방식이라고 보시면 되나 Mini LED는 일반적인 FALD 방식에 사용되는 LED 보다 작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FALD의 일반적인 방식보다 LED 개수가 많기 때문에 로컬 존을 많이 만들수 있어서 명암비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고, 하일로 현상이라는 빛 번짐 정도도 낮아집니다.
OLED
- OLED TV 제품은 백라이트 방식이 아닙니다. 유기 발광체가 직접 발광하여 빛을 만드는 구조이기 때문에 얇게 제작이 가능한 것입니다.
결론
DLED와 ELED 간 제품은 장단점이 있으나 저가 보급형 제품인 한계로 인해서 어떤 제품이 더 좋다라는 평가를 내리기 어렵습니다. 엘지전자와 삼성전자의 경우 LED 백라이트 구조를 설명하지 않고 있어서 논쟁하기가 더 어렵죠. FALD 방식은 일반 LED와 미니LED 모두를 포함하는 방식입니다. 중고급 제품에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TV도 알고 구매하시면 즐겁습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지전자의 디밍 기술 소개 : 로컬디밍, 프리시젼 디밍, 프리시젼 디밍 프로, 올레드 픽셀디밍 (0) | 2025.02.13 |
---|---|
삼성전자 TV의 디자인 Slim look, AirSlim, Simple Chamfer, Neo Slim, Laser Slim, Infinite One (0) | 2025.02.08 |
60Hz 주사율 TV에서 VRR(가변 주사율)이 지원되나? G-Sync와 FreeSync (0) | 2025.01.27 |
누구냐 넌? LG전자 OLED TV 번들 IR Blaster Cable의 정체 (0) | 2025.01.26 |
LG전자 OLED TV와 OLED evo TV 제품의 차이점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