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

HDR 기술의 핵심 이해: HDR10, HDR10+, 돌비비전, HLG

넙티비 2024. 12. 14. 13:51
반응형

HDR 기술들

 

UHD TV 및 스마트TV가 나오면서 각종 영상 기술과 음향 기술이 마치 TV의 가치를 결정하는 듯이 홍보하기도 합니다. 이게 정말인지 알기 위해서는 이 기술의 용어부터 내용까지, 그리고 TV에 적용되어 말처럼 그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것인지 어느 정도는 알고 넘어가시라고 영상 기술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HDR 관련 기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HDR

TV가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다보니 TV 밝기는 계속해서 올라가고 색상 표현도 눈에 보이는 것처럼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 밝기나 색상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했고, 실제로 밝기만 올라가다보면 나올수 있는 어두운 곳 표현이 뭉개진다던가 밝은 곳 표현 시 경계가 모호해지는 등 명암비 표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했습니다. 이로인해 나온 기술이 HDR입니다. HDR은 HDR10, HDR10+, 돌비비전을 모두 포함하는 기술의 통칭입니다.

HDR10

삼성전자가 주도로 하여 결성된 UHD 얼라이언스가 표준화한 HDR 기술의 일종으로 돌비의 돌비 비전에 맞서서 경쟁적으로 만든 규정입니다. 돌비비전이 동적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면 프레임마다 밝기와 채도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는 반면

HDR10은 고정데이터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콘텐츠 전체에 일률적으로 밝기와 색감 등의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HDR10은 라이선스 사용료가 없기 때문에 거의 모든 TV 제조사들이 채택할만큼 기본적인 영상 기술이 되었습니다. 

HDR

반응형

HDR10+

HDR10의 단점인 정적 메타데이터 사용을 동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HDR10+ 입니다. 이 기술은 2017년 4월에 발표되었고  시작은 미약했지만 현재는 오픈소스의 이점을 발판으로 많은 TV 제품이나 콘텐츠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돌비비전에 비해서 색심도나 최대 밝기 면에서는 떨어지는 면이 있지만 10비트의 색심도에서도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색감을 느낄 수 있고, 1000 니트의 밝기를 가진 TV도 많지 않은 이상 HDR10+의 기술로도 충분히 좋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만족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부터 유명 OTT 디즈니플러스나 넷플릭스 등과 협업하여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돌비 비전에 비해서는 많이 밀리는 것이 사실이긴 합니다. 요즘은 HDR10+을 적용한 콘탠츠들이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콘탠츠 제작자 입장에서는 한 콘탠츠에 돌비비전과 HDR10+의 메타 데이터를 입히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 중 택1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돌비비전

대표적인 영상 기술 표준으로 유료 라이선스입니다. 즉,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료를 내야하는거죠. 삼성전자가 유료 비용을 줄여서 제품 원가를 낮춰보겠다는 의지와 함께 돌비를 협력 기술로 보기 보다는 기술 의존도를 낮추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DTS 사운드를 적용하는 등 완전히 경쟁사로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돌비비전은 HDR10+과 같이 동적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밝기나 색감, 명암비 등을 프레임 단위로 조정할 수 있고, 최대 밝기는 1만 니트, 색심도는 12비트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기술 내 지원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기술일 수 있지만 이를 만족하는 하드웨어 기기가 없다면 무용지물이거나 너무 앞서나가는 기술일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현시점에서 HDR10+이나 돌비비전 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고 하네요.

결론

삼성전자는 세계1위 점유율과 매출액을 자랑하는 글로벌 TV 제조사로 돌비 비전 기술이 없더라도 자사가 개발한 영상 기술로도 충분히 좋은 화질과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적인 종속이 생길 수 있는 것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돌비비전의 기술력과 시장에 대한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돌비의 기술을 외면할 수도 없습니다. 앞으로도 HDR10+와 돌비비전의 경쟁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사항 : HLG(Hybrid Log-Gamma)

HLG는 BBC와 NHK가 실시간 전송 방송을 위해서 개발한 기술로 HDR이나 SDR에서도 넓은 색재현율과 높은 명암비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로 고화질이나 저화질에서도 작동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