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캠핑 인구가 700만명에 달하고 야영장도 3700여개, 관련 시장도 7조원을 넘었습니다. 캠핑족들의 수많은 니즈가 있는데 이중 하나가 캠핑 하면서도 TV를 시청하는 것이 하나가 있습니다. 자칫 무료해질 수 있는 캠핑 도중 영화 감상이나 실시간 TV 시청 등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에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시중에도 많지는 않지만 관련 제품들이 나오고 있어서 오늘은 국내 출시된 휴대용 포터블 캠핑 TV에 대해서 각 제품의 특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휴대용 포터블 캠핑TV에 필요한 기능
- 휴대용 포터블 캠핑TV의 가장 큰 특징은 휴대성이며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느냐입니다. 휴대성의 면에서는 작은 화면이 특징이 될 것이고, 무게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 또한 스마트 TV 시대에 OTT를 야외에서도 시청하기 위해서 와이파이를 통해서 스마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확터진 야외에서도 음성을 뚜렷하게 들을 수 있게 출력이 강하거나 사운드 수준이 좋아야 합니다.
- 야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갑자기 비나 눈이 올 경우를 대비해 약간의 방수 방진 기능이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 다른 기기와 연결하여 화면이나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서 충분한 연결 포트가 달려 있어야 합니다.
휴대용 포터블 캠핑TV 구매시 고려사항
위 필요한 기능과 중복되는 내용이긴 합니다만..
- 화질은 되도록 HD급 보다는 FHD급 이상으로 구매합니다. 작은 화면은 HD급도 충분하다고는 하지만 방송 환경이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니 되도록 높은 등급의 화질이 좋습니다. 모니터 사용할 때도 HD급은 충분치 않습니다.
- 작지만 TV이기 때문에 약한 패널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제조사에서 제조한 하드케이스 등의 가방이 있는 제품으로 구매합니다.
- 사후 서비스 면에서는 대기업이 좋겠지만, 중소기업은 이 약점을 만회하기 위해서 무상기간을 늘렸고, 유상 서비스 기간도 늘렸습니다. 대기업은 5년만 지나도 돈주고도 못고치는 경우도 생깁니다.
국내 출시된 휴대용 포터블 캠핑TV 종류
국내에서 그나마 휴대용 포터블 캠핑TV라고 알려진 제품의 스팩을 표로 만들어서 비교해 봤습니다. 엘지 제품 2종, 삼성제품 1종, 중소기업 제품 1종입니다. 이 외에 삼탠바이미라고 명명해서 시중에서 유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32인치TV + 이동식 스탠드를 조합한 제품도 있지만 이 제품은 그냥 중소기업 스마트 TV입니다. 별 의미는 없어서 뺐습니다.
위 표에 보시면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일체형 TV 2종, 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은 제품이 2종입니다. 배터리 장착 제품은 LG 스탠바이미 Go 27LX5QMNA 제품과 이스트라 쿠카라는 중소기업에서 나온 캠핑 전용 포터블 TV인 팔로미 제품입니다. 가격은 거의 2.5배 정도 차이가 나고, 무게는 팔로미가 4킬로로 꽤나 가볍습니다. 두 제품 모두 FHD 제품이며, 스마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배터리 차이가 나는지 쿠카 팔로미는 6시간, 엘지 스탠바이미 고는 3시간 지속입니다. 위 스팩으로만 비교해 보면 쿠카 팔로미가 가격에 비해서 상당한 가성비를 보여주고 있네요.
배터리 장착이 안된 제품들은 삼성과 엘지 각각 1종이 있습니다. 삼성은 UHD급 32인치, 엘지는 FHD급 27인치이고 TV 겸용 모니터라고 홍보되는 제품입니다. 즉, 야외보다는 실내에서 쓰는 제품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스마트 기능이 있기 때문에 전기 코드가 있는 캠핑장 등에서 활용이 가능해 보입니다. 제조사에서 만든 전용 가방은 없지만 가방 제조사들이 따로 가방을 내놓고 있습니다.
결론
대기업의 믿음이냐, 중소기업의 성능과 가성비냐. 선택은 소비자의 몫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캠핑을 가끔 노지로 가시는 분들에게는 배터리 일체형인 쿠카 팔로미 제품, 캠핑장 여기저기에 전기 콘센트가 잘 지원되는 곳은 엘지 룸앤티비, 남들 눈을 의식하시는 분들은 엘지 스탠바이미 고, 실내용도로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삼성 무빙스타일M 제품이 적당해 보입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TV의 Supreme UHD Dimming, Ultimate UHD Dimming 과 FALD, 로컬디밍 (0) | 2024.12.16 |
---|---|
삼성TV 사운드 기술 소개 큐-심포니, 무빙사운드, 360 사운드 (0) | 2024.12.15 |
HDR 기술의 핵심 이해: HDR10, HDR10+, 돌비비전, HLG (0) | 2024.12.14 |
필립스 휴싱크(Hue Sync)와 엠비라이트 (Ambilight) 비교 선택 기준 (0) | 2024.12.14 |
HGIG : HDR 콘솔 게임을 위한 최적의 톤 매핑 기술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