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TV를 한 대 사려고 해도 스펙표를 보면 왜 이렇게 복잡하고 모르는 단어로 만들어진 기능들이 많은지... 전자제품 사기도 힘듭니다. 그중 하나가 디밍(Dimming)이라는 기술입니다. 디밍은 대체로 화질에 영향을 끼치는 기술이다보니 중요하게 다뤄야 하는 기술입니다. TV가 아무리 기능이 많고 스마트 하다고 해도 TV의 기본적인 역할은 시청이다 보니 화질이 제일 중요합니다. 오늘은 디밍 기술 중 삼성이 만든 단어인 Supreme UHD Dimm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밍(Dimming)이란?
디밍은 주로 LED를 백라이트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에서 화면의 밝기 조정에 관여하는 기술로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표현하여 명암비를 향상시켜서 생생한 영상을 제공하는데 쓰이는 기술입니다. 일부 고급 제품의 경우 작은 LED나 픽셀을 키고 끌 수 있어서 에너지 절약이나 눈부심을 줄여주는 역할도 합니다.
디밍(Dimming)의 구현 방식
- 백라이트를 직접 제어 : LED를 직접 제어하여 명암비를 높입니다. 즉, LED를 끄거나 켜서 깊은 블랙 표현을 할 수 있죠.
- 픽셀 제어 : 주로 OLED나 차세대 TV라는 마이크로 LED에서 가능한 진보한 기술입니다.
- 소프트웨어 제어 : 주로 LED 개수가 많지 않은 보급형 TV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어입니다.
디밍(Dimming)의 종류
- 로컬디밍 : 일반적인 LED를 활용하여 디밍을 구사합니다.
- Full Array Local Dimming(FALD) : 풀 어레이 로컬 디밍은 LED를 상대적으로 많이 배치하여 정밀하게 명암비를 구사합니다.
- 미니LED 로컬디밍 : 수천 수만개의 작은 LED를 백라이트에 배치하고, 이를 수천 수백개 Zone으로 나눠서 제어하는 디밍 기술입니다.
- OLED 픽셀 디밍 : OLED는 픽셀 단위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로컬 디밍보다는 상대적으로 완벽한 블랙 표현이 가능합니다.
- 소프트웨어 디밍 :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명암비를 구현합니다. 하드웨어 제약이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구현이 가능하나 명암비는 떨어지는 약점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UHD Dimming, Supreme UHD Dimming, Ultimate UHD Dimming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디밍(Dimming) 기능이 있는 TV가 좋나?
앞서 말했듯이 TV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화질입니다. 이 화질을 이루는 요소 중 중요한 것이 명암비입니다. 디밍 기술은 대체로 명암비를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론적으로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차이를 명암비라고 한다면 명암비가 극대화 되기 위해서는 TV가 엄청나게 밝아야하고 블랙은 엄청나게 어두워야 합니다. 엄청나게 어두운 블랙은 아예 백라이트를 끄는 것이 되겠죠. 이렇게 명암비를 잘 표현해주고 세밀하게 표현해 주는 TV가 좋은 TV이며, 가격도 비쌉니다. 밤 화면이 까맣지 않고 회색으로 표현되거나 어둠속 물체나 사람이 어둠에 덮여서 안보이는 TV는 명암비가 안좋은 TV입니다. 영상을 찍는 감독은 밤 장면에서 물체나 인물이 잘 보이게 찍었을 겁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질 최적화 조정 캘리브레이션: 삼성전자 TV 스마트 캘리브레이션 (0) | 2024.12.19 |
---|---|
삼성전자TV AI 모션 강화와 주사율 120Hz의 효과 (0) | 2024.12.17 |
삼성TV 사운드 기술 소개 큐-심포니, 무빙사운드, 360 사운드 (0) | 2024.12.15 |
HDR 기술의 핵심 이해: HDR10, HDR10+, 돌비비전, HLG (0) | 2024.12.14 |
필립스 휴싱크(Hue Sync)와 엠비라이트 (Ambilight) 비교 선택 기준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