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사를 조금만 살펴보시면 현재 삼성 디스플레이나 엘지 디스플레이에서 TV용 LCD 패널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럼 현재 삼성전자나 엘지전자의 OLED를 제외한 LED TV 패널은 어떤 패널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세계 LCD 패널 점유율

- 위 표는 2023년 세계 LCD 패널 점유율 현황입니다. LCD 패널은 중국이 60% 한국이 10%로 중국이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 2025년 이후 중국 패널 제조사인 CSOT사로 엘지 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이 매각되면 이 10%의 점유율도 중국에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 대만의 점유율도 줄어들고 있는데요. 대만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공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엘지전자와 삼성전자의 TV용 패널은 국산인가?
- 삼성전자는 쑤저우 중국 공장을 2022년에 이미 CSOT에 매각을 해서 현재는 그때그때 저렴한 중국산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 쑤저우 공장을 매각하면서 CSOT의 지분을 10% 취득한 바가 있어서 주로 CSOT VA 패널을 쓴다고는 하지만 전량 쓰는 건 아닙니다. 중국 BOE 사와 특허 분쟁이 시작된 이후로 엘지 디스플레이에서도 LCD 패널을 구매해서 쓰기도 했습니다.
- 엘지전자는 엘지 디스플레이가 LCD 패널을 감산을 한 후 BOE 사의 IPS 패널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엘지전자라고 IPS 패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중국산 VA 패널도 인치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국내 두 패널 제조사가 세계 점유율 1위를 달릴 때는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TV에 사용되는 패널은 최고 등급의 LCD 패널을 뽑아서 납품했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LCD 패널이 평준화 되어서 중국산이나 국산이나 거의 비슷한 품질이라고 하네요.
TV의 화질은 패널이 중요한 요소인가?
- 화질의 기본적인 요소에는 패널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IPS 방식의 패널인지 VA 패널인지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국내 대기업 TV의 경우 IPS, VA 패널 위에 각종 AI 기반 보정기술, 화질 강화, 편의성 등을 추가해서 차별화 합니다.
그럼 엘지 패널을 사용했다는 중소기업 TV는 머야?
- 아직까지 엘지 디스플레이에서는 소량 LCD 패널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엘지 디스플레이와 전략적인 파트너 관계에 있는 중국의 KTC라는 TV 제조사가 엘지 패널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이 제품을 국내 중소기업TV에서 ODM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KTC 제품을 가져오는 중소기업TV는 엘지 패널을 쓴다고 홍보할 수 있는거죠.
결론
삼성전자나 엘지전자 모두 자회사의 패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중국산 패널이나 대만산 패널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중국산 LCD 패널 수준이 떨어진다고 볼 수 없으니 사기라고 까지는 할 수 없는 것일겁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크리스탈UHD 엘지전자 울트라HD 스마트TV 현명하게 사는 방법 (0) | 2025.03.16 |
---|---|
삼성전자 TV와 엘지전자 TV가 중소기업TV 보다 좋은 점 (0) | 2025.03.15 |
FALD LED 구조가 DLED와 ELED, OLED와 다른 점 (0) | 2025.03.15 |
엘지전자 인공지능리모컨의 역할 NFC 매직 리모컨 (0) | 2025.03.13 |
영상 보정기술 트루모션, 모션터보, 모션 엑셀러레이터, MEMC의 차이 비교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