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제품에는 가성비라는 말이 통용되기는 하지만 TV 제품은 싸고 좋은 TV는 없다는 진리인 듯 합니다. 간혹 비싼데 금액만큼 가치가 없는 제품도 존재하긴 합니다. 또한 중국산이나 중소기업 TV가 대기업 TV에 비해서 가성비가 좋다라는 말도 있긴 합니다.
삼성전자 엘지전자 대기업 UHD급 TV
- 엄밀하게 따지면 OLED나 미니LED, 8K TV, QLED TV 등 고급 제품들도 UHD TV입니다. TV의 광원이나 패널 종류에 따라서 붙여진 제품 명칭입니다.
- 일반적인 UHD급 TV 중 보급형 제품을 그냥 UHD TV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 삼성전자는 크리스탈UHD TV, 엘지전자는 울트라HD TV가 엔트리급 제품입니다.
- 삼성전자나 엘지전자 모두 6000<7000<8000<9000이라는 숫자를 코드 명에 포함해서 등급을 나누고 있습니다.
- 동일 시리즈 내 숫자가 올라갈수록 대체로 고급 제품이지만 특정 제품의 온라인 세일 때문에 등급 높은 제품이 더 저렴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크리스탈UHD TV, 엘지전자 울트라HD TV 현명하게 구매하기
엘지전자 울트라HD TV
- 울트라HD TV를 보면 대체로 같은 등급 내에서 파생등급이 많습니다. 75인치를 예를 들자면 75UT9300BNA 75UT9300KNA 75UT931C0NA 3가지 제품이 동일한 제품입니다. 하지만 가격은 각기 다릅니다.
- 특히 엘지전자는 하나의 제품을 가지고 유통 채널마다 제품코드를 달리해서 유통하는 경우가 많고 삼성전자도 유사합니다.
- 따라서 제품의 스펙을 잘 보시고 동일한 스펙이라고 하면 가장 저렴한 제품을 선택합니다. 75UT9300BNA 75UT9300KNA 75UT931C0NA 3가지 제품 중 가장 저렴한 제품이 75UT9300KNA 제품으로 132만원입니다. 이 가격은 그때그때 다르므로 네이버나 다나와 등 가격 비교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하세요.
- 때에 따라서는 8000번대 제품보다 9000번대 제품이 더 싼 경우도 많습니다.
- 엘지전자 울트라HD TV 대부분 HDMI 포트 수와 제품 두께, 인공지능 리모컨 유무 등 마이너한 이유로 등급을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격은 어이없게 높게 벌어진 경우도 많으니 과연 가치가 있는 차이점인지도 판단하셔야 합니다.
삼성 크리스탈UHD TV
- 크리스탈UHD TV의 경우도 7000과 8000 시리즈 제품을 보면 USB 포트가 1개냐 2개냐와 두께가 얇냐 두껍냐로 나뉘는 듯 합니다. HDMI 포트는 3개로 동일합니다.
- 두께는 DLED LED 배치 방식이 두껍고 엣지형인 ELED 방식이 얇습니다. 그렇다고 엣지형 제품이 고급형은 아닙니다.
결론
삼성전자나 엘지전자나 UHD 등급의 크리스탈UHD TV, 울트라HD TV의 등급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솔직히 도톨이 키재기입니다. 차라리 낮은 등급의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엘지전자의 경우 인공지능 리모컨 정도만 별도로 구매해서 사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의 거짓말 AI 환각은 극복 가능한가? (0) | 2025.05.16 |
---|---|
챗GPT의 거짓말 고백 AI 환각에 대해서 (0) | 2025.05.16 |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TV에 사용되는 패널은 국산인가? (0) | 2025.03.16 |
삼성전자 TV와 엘지전자 TV가 중소기업TV 보다 좋은 점 (0) | 2025.03.15 |
FALD LED 구조가 DLED와 ELED, OLED와 다른 점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