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

영상 보정기술 트루모션, 모션터보, 모션 엑셀러레이터, MEMC의 차이 비교

넙티비 2025. 3. 13. 13:14
반응형

.

Motion xcelerator

 

영상을 부드럽게 출력해주는 기능인 보간보정 등의 기능이 제조사 마다 다르게 명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 겁니다. 관심은 별로 가지는 않겠지만 각 제조사가 사용하는 보간보정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산 및 중소기업TV의 보간보정 기술 MEMC(Motion Estimation and Motion Compensation)

  • 국내 중소기업TV와 중국산 TV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간보정기술입니다.
  • 영상 콘탠츠의 프레임이 낮을 경우 한 프레임을 복사해서 프레임을 늘려주는 형태로 부드러운 화면을 만들어 줍니다.
  • 빠른 화면에서는 끊김이 느껴지지 않아 장점이 있지만 드라마 등에서는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소프 오페라(Soap Opera) 현상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엘지전자의 모션 보정 기술 트루모션(TrueMotion)

  • 엘지전자에서 사용하는 기술로 MEMC와 유사한 기능으로 프레임 보간 방식입니다.
  • 인공지능 AI 프로세서가 프레임을 예측하여 추가 프레임을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 MEMC와 유사하게 소프 오페라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모션터보(Motion Turbo), 모션 엑셀러레이터(Motion xcelerator)

모션터보(Motion Turbo)

  • 삼성전자가 사용하는 고주사율 가속 기술로 주사율을 높여서 부드러운 화면을 구현하는 방식이 모션터보입니다.
  • 24bps의 콘탠츠가 들어오면 깜빡임(주사율)을 2배로 늘려서 48bps로 보이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 모션터보 120이나 모션터보 144+ 등으로 세부 스펙에 표기됩니다. 
  • 주로 영상 시청보다는 게임모드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모션 엑셀러레이터(Motion xcelerator)

  • 삼성전자의 MEMC 기반 보간보정 기술은 모션 엑셀러레이터라고 명명하고 있습니다.
  • MEMC 기반의 보간보정 기술로 프레임을 보간해서 부드러운 화면을 구현합니다.
  • MEMC 기반이기 때문에 소프 오페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높은 주사율이 필요한 게임모드에서는 모션 엑셀러레이터 터보+가 지원됩니다.

결론

영상의 보간보정 기능은 MEMC 기반의 비슷한 기능이긴 하나 제조사별로 다른 이름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물론 AI 프로세서를 통한 알고리즘과 딥러닝을 통한 대기업 제품의 보간보정은 다를 수 있습니다만, 프레임을 복사해서 부드럽게 영상을 만들어 준다는 기본 기능은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프 오페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삼성전자나 엘지전자는 기능을 끌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중국산이나 중소기업TV에서는 MEMC를 끌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