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ALD(Full Array Local Dimming)는 백라이트 배치를 기준으로 기존 TV와 달리 많은 LED 개수를 기반으로 디밍존(Dimming Zone)을 나눠서 물리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일컫습니다. 근본적으로는 직하형 LED 배치 방식인 DLED와 유사한 구조입니다.
FALD(Full Array Local Dimming) 장점
- 단순하게 LED 개수가 많다고 해서 FALD 구조라고 볼 수 없습니다. FALD와 DLED의 구분의 가장 큰 요소는 로컬 디밍이 가능하냐 아니냐입니다.
- 로컬 디밍이라함은 LED를 여러개의 존(Zone)으로 나눠서 물리적으로 직접 껐다 켰다 제어가 가능한 기술입니다. 로컬존을 꺼버리면 완전한 블랙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만큼 명암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로컬존이 많으면 많을수록 세밀하게 명암비를 조정할 수 있으나 LED 개수에 비례해서 로컬존도 늘어나게 됩니다.
- FALD 구조는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차이를 극명하게 나타내는 HDR 콘텐츠에서는 더욱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게 됩니다.
- 디밍존이 많아지면 LED 조절이 세밀하게 될 수 있어서 빛샘이나 빛번짐 현상(Halo Effect, Blooming)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 LED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야 하는 FALD 구조 상 화면이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FALD 구조의 TV 보다 수준이 높다는 OLED에 비해서 밝기(휘도)를 높여서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엘지전자에서 발표한 4세대 OLED 패널의 피크 휘도가 3천 니트, 컬러 휘도 1500니트라고 발표된 바가 있어서 FALD 구조가 OLED 보다 밝기 면에서 낫다는 말이 뒤집혀 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OLED 패널의 특성 상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이러한 밝기를 유지하기가 힘든 구조입니다. 고휘도로 계속해서 컨탠츠를 재생하다보면 발열 등으로 인한 번인 위험이 있어서죠.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고휘도가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환경에서는 밝기 리미트(Auto Brightness Limiter, ABL)를 걸어서 낮은 휘도로 출력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FALD(Full Array Local Dimming) 단점
- FALD 구조의 TV는 일반적으로 높은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 FALD 구조가 DLED 구조를 기반으로 하다보니 LED 광원을 패널에 보내는 기본적인 공간이 필요하다보니 엣지형 LED 제품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 네오QLED 87 이상급 고급 제품의 경우 엣지형 TV와 비슷하거나 더 얇은 2.1~2.7센티의 두께입니다. 이 제품들을 어떻게 얇게 만들 수 있는지는 삼성전자의 영업비밀로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삼성전자 네오QLED 85 이하 제품들은 4.7센티로 엣지형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긴 합니다.
- 일반적인 LED 구조의 TV 보다는 명암비 면에서는 수준 이상이나, 픽셀을 직접 제어하는 OLED에 비해서는 명암비 면에서 떨어지는 수준입니다. 디밍존 수가 적다면 빛번짐 현상인 블루밍이나 하일로 이펙트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결론
LED를 광원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조라는 것으로는 직하형 DLED 구조나 엣지형 ELED 구조의 TV와 같지만 FALD 구조는 로컬디밍이 가능한 디밍존을 구성할 수 있고, 로컬디밍 존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는 것으로 차별화 됩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TV에 사용되는 패널은 국산인가? (0) | 2025.03.16 |
---|---|
삼성전자 TV와 엘지전자 TV가 중소기업TV 보다 좋은 점 (0) | 2025.03.15 |
엘지전자 인공지능리모컨의 역할 NFC 매직 리모컨 (0) | 2025.03.13 |
영상 보정기술 트루모션, 모션터보, 모션 엑셀러레이터, MEMC의 차이 비교 (0) | 2025.03.13 |
삼성전자 네오QLED와 엘지전자 QNED evo 솔직 비교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