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엘지전자가 주로 사용한다는 IPS 패널을 사용한다면 어느 각도에서도 우수한 시야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제품은 굳이 Ultra Viewing Angle과 Wide Viewing Angle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시야각을 높인다고 합니다. 패널만 바꾸면 해결되는 문제를 굳이 이런 기술을 적용하는 걸까요?
Wide Viewing Angle
- Wide Viewing Angle 기술은 삼성전자의 일부 고급 제품에만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85인치급 TV로 보면 KQ85QD70AFXKR 이상 제품부터 네오QLED 중상급 제품에만 적용되고 있습니다.
- 시야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VA 계열 패널에 광학필름을 추가해서 시야각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Ultra Viewing Angle
- Wide Viewing Angle 보다 진보된 패널 기술로 광학 필름 외 패널 구조 변경으로 시야각을 높였습니다.
- 최대 60도의 시야에서도 왜곡 없는 화질을 보여줍니다.
- VA 패널의 구조가 수직 정렬이라서 IPS 패널에 비해서 측면에서는 색 왜곡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서 일부 액정을 미세하게 기울려 배치하여 측면에서도 더 많은 빛이 투과되도록 유도하여 측면에서도 밝기와 색 정확도를 유지하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IPS 패널을 쓰면 시야각은 해결되는데 굳이?
- 삼성전자는 초창기부터 자사의 TV에 삼성 디스플레이에서 생산한 VA 계열의 패널을 사용해 왔습니다. 2022년 경에 삼성 디스플레이가 LCD 패널을 완전히 단종한 이후로도 중국산 VA 패널을 사용해 왔습니다. 굳이 시야각이 좋지 않은 VA 패널을 써서 좋을게 있나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VA 패널은 IPS 패널에 비해서 명암비가 좋다는 전반적인 평가가 있습니다.
- 삼성전자의 경우 색 정확도 면에서는 QLED 패널을 사용해서 색감 향상을 꽤할 수 있었고, Ultra Viewing Angle과 Wide Viewing Angle 기술로 시야각을 높이며, 명암비도 상승시키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 결국 VA 패널과 IPS 패널의 장점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기술로 이 시야각 기술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결론
삼성전자 TV는 VA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야각이 좋지 않다는 말은 Ultra Viewing Angle과 Wide Viewing Angle 기술로 일부 해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IPS의 색 정확성도 QLED 패널을 채택하면서 해소될 수 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는 엘지전자 제품이 인기가 많지만 세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TV가 각광받는 이유가 이러한 기술들을 인정받는 것 아닌가 합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보정기술 트루모션, 모션터보, 모션 엑셀러레이터, MEMC의 차이 비교 (0) | 2025.03.13 |
---|---|
삼성전자 네오QLED와 엘지전자 QNED evo 솔직 비교 (0) | 2025.03.12 |
삼성전자 TV Neo Quantum HDR과 Quantum HDR (0) | 2025.03.11 |
삼성전자 TV 무빙사운드(OTS, Object Tracking Sound) (0) | 2025.03.11 |
삼성전자 TV Q-Symphony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