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

엘지전자의 디밍 기술 소개 : 로컬디밍, 프리시젼 디밍, 프리시젼 디밍 프로, 올레드 픽셀디밍

넙티비 2025. 2. 13. 15:11
반응형

엘지전자나 삼성전자의 TV 모두 명암비 강화를 위해서 디밍(Dimming)이라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디밍이라 함은 LED와 같은 광원을 제어하여 명암비를 높여주는 기술입니다. 엘지전자의 디밍 기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엘지전자 TV 로컬 디밍(Local Dimming)

  • 로컬 디밍이라 함은 전반적으로 쓰여지는 공통의 기술이며, 광원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명암비를 높여주는 기술입니다.
  • 엘지전자 TV에 소개된 로컬 디밍의 경우 개인적인 짐작이긴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인 디밍 기술을 통틀어서 로컬 디밍이라는 기술로 소개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75QNED70NRA 의 화질 스펙 중

  • 로컬 디밍이라는 기술 스펙은 울트라HD 제품군 중 90 등급 제품부터 QNED 80 등급 제품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 로컬 디밍이 적용된 제품 중 얇은 제품과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품이 있는데 얇은 제품은 직하형 LED 제품(DLED) 제품에 해당될 가능성이 크고, 얇은 제품은 엣지형(ELED) 제품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 엘지전자 TV 스펙에 로컬 디밍이라는 디밍 기술로 기술된 제품들은 아마도 소프트웨어적인 디밍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하드웨어 디밍이 되는 제품은 FALD라는 기술이 적용되는 제품도 울트라HD 제품군 중 90 등급 제품부터 QNED 80 등급 중에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에너지 등급이 높은 제품이 이 FALD 제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엘지전자 TV 프리시젼 디밍

  • LED 개수가 많이 들어가는 미니LED TV부터 프리시젼 디밍이라는 디밍 기술이 적용됩니다.
  • QNED 90 이상 등급에 적용되지만 세부 제품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인치에 따라서 등급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습니다.
  • 프리시젼 디밍과 프리시젼 디밍 프로의 차이점은 아마도 로컬 디밍존의 갯수나 미니LED 갯수에 따라서 달라지는 듯 합니다.

엘지전자 TV 프리시젼 디밍 프로

  • "프로"라는 수식어가 더 붙은 것을 보면 그냥 프리시젼 디밍보다는 로컬 디밍존의 갯수나 미니LED 갯수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 로컬 디밍존의 갯수나 미니LED 갯수가 많아지면 명암비와 색재현율 등이 높아집니다.
  • 이에 비례해서 전력 소비도 높아집니다.
  • 로컬 디밍존의 갯수나 미니LED 갯수가 많아지면 미니LED에서 나타나는 블루밍(빛 번짐) 현상이 줄어듭니다.
반응형

엘지전자 TV 프리시젼 디밍

엘지전자 TV 프리시젼 디밍 프로 플러스

  • 엘지전자 TV 프리시젼 디밍 프로 다음 버전으로 플러스 버전이 있고 주로 8K 제품에 적용됩니다.
  • 주로 QNED 95, 99 등급 제품에 적용되는 기술로 보입니다.
  • 프로에 플러스까지 붙은 등급이고 8K 제품에 적용되기 때문에 디밍 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만, 8K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올레드 픽셀 디밍

  • OLED TV에 적용되는 디밍 방식으로 용어 자체가 직관적입니다. 
  • OLED TV는 픽셀 하나하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픽셀 디밍이라는 용어가 적절해 보입니다.
  • 로컬존으로 여러 LED를 하나로 묶어서 존으로 만들어 제어하는 여타 제품에 비해서 명암비 구현이 픽셀 단위이기 때문에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디밍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 제품이 명암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블랙 표현이 좋다고 합니다. 이 디밍 기술이 빛을 발하는 것이 영화를 감상할 때입니다. 고급 제품일수록 깊은 블랙 표현이 가능하고, 어두운 구역을 세밀하게 밝게 나타낼 수 있어서 영화 제작자가 보여주고 싶은 화질을 그대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안한 화면을 즐길 수 있는 명암비 수준은 최소 미니LED급은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