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쓰이는 TV 용어 중에 공식적으로 쓰이는 TV용어도 있고, 대기업 제조사가 만든 마케팅 용어도 섞여서 쓰이고 있습니다. 심지어 마케팅 용어가 공식 용어로 굳어져서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TV에 관련되어 쓰이고 있지만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 들어갑니다.
공식적인 TV 용어
- UHD : TV의 화질 등급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HD<FHD<UHD급 화질로 발전해 왔고, 현재는 UHD급이 대세로 되어 있습니다. UHD급 화질을 가진 TV가 UHD TV라고 불립니다.
- 4K : UHD급 화질을 다른 말로 4K라고 부릅니다. 3840X2160P라고 한 화면(패널) 내에 이만큼 조그만 셀이 들어가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K는 천을 나타내는 약자로 원래 기준은 4000이었으나 표준이 약간 바뀌면서 3840으로 내려간 것이라고 하네요. 참고로 FHD는 2K라고 부르며 1920X1080P 기준입니다.
- 8K : 현재 양산되고 있는 4K 보다 2배가 더 높은 셀 수를 가진 기준이 8K입니다. UHD급 TV를 4K TV라고 부르고 UHD 이후 그냥 8K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8K TV라고 명칭하고 있네요.
- LCD TV : 백라이트가 빛을 만들어서 LCD 패널에 화면을 구성하는 TV를 LCD TV라고 부릅니다. 초기 버전의 LCD TV는 CCFL이라는 형광등바를 백라이트로 한 제품을 LCD TV라고 불렀습니다.
- LED TV : LCD TV가 나온 후 LED를 광원으로 하는 제품이 2000년대 초반부터 나오기 시작했는데 CCFL LCD TV보다 더 밝고, 전력소비도 적고, 더욱 가볍고 얇게 제작이 가능한 혁신적인 제품이었습니다. 소니가 최초로 제품을 내놨고 삼성전자, 엘지전자가 발전시켜 나간 제품으로 CCFL LCD TV와 차별화 하기 위해서 LED TV라는 새로운 마케팅 용어로 광고하면서 현재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LCD TV를 LED TV라고 고유 명사로 굳어지게 되었습니다.
- OLED : 유기물 발광체를 광원으로 백라이트가 없이 빛을 만드는 것이 OLED입니다.
반응형
TV 제조사의 마케팅 용어
LED TV와 같이 마케팅 용어가 공식 용어로 굳어지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마케팅 용어로 통용되면서 소비자들을 헷깔리게 하는 단어들입니다.
- QLED : 삼성전자가 엘지전자의 OLED에 맞서서 만들어 낸 용어가 QLED입니다. LCD 패널에 퀀텀닷 필름을 붙여서 더 밝고 색재현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게 되는 제품입니다. 하지만 OLED와 같이 이전 기술과 완전히 다른 제품이 아니라 LCD 제품에 퀀텀닷 필름을 바른 것일 뿐이라서 약간은 사기성이 있었습니다. 결국 삼성전자도 QLED TV의 실패를 인정하고 OLED TV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 QNED : 삼성전자가 QLED로 사기를 쳤다면 엘지전자는 QNED로 사기를 쳤습니다. 원래 QNED는 삼성전자와 국민대, PSI 등이 개발한 퀀텀 나노발광 다이오드라는 기술로 OLED의 번인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보완하면서 밝기와 효율을 높이는 제품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율이 아직 높지 않아서 상용화를 못하는 기술입니다. 엘지전자는 이러한 기술이 개발중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 QNED 용어를 자신의 시리즈 명으로 채용했죠. 변명은 퀀텀 나노발광 다이오드가 아니고 퀀텀닷 나노셀 LED라는 표현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엘지전자가 쓰는 QNED는 기술을 나타내는 명칭이 아니고 마케팅 용어입니다.
- 크리스털 UHD, 울트라 UHD : UHD급 일반 패널 제품을 판매하면서 UHD TV라고 하면 밋밋할 것 같아서 크리스털과 울트라를 붙여서 홍보하는 마케팅 용어입니다. 크리스털은 삼성전자가 울트라는 엘지전자가 UHD급 일반 패널 TV에 붙입니다.
- 나노셀 : 엘지전자가 QLED 제품에 대응하기 위해서 만들어 낸 마케팅 용어로 만드는 방식은 다를 지언정 개념은 QLED와 같습니다.
마무리
LED TV와 같이 마케팅 용어가 고유명사로 굳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무리한 마케팅 용어로 소비자들을 혼란시키는 행태는 지양해야 합니다. 혹자는 삼성전자 크리스탈 UHD TV는 패널을 크리스탈이 들어간 패널을 쓰기 때문에 다릅니다라고 하는 분도 있을정도로 마케팅 용어가 소비자에게 끼치는 영향은 큽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OLED TV에 적용된 HDR 기술들 OLED HDR + OLED HDR Pro (0) | 2024.12.27 |
---|---|
삼성전자가 WOLED를 어떤 제품에 적용하나? QD-OLED는? (0) | 2024.12.27 |
안드로이드TV, 안드로이드 버전과 구글TV 버전이 왜 다르나? 구글TV 5.0? (0) | 2024.12.26 |
LG QNED evo OLED evo는 특별한가요? (0) | 2024.12.24 |
삼성 데일리 플러스 기능 소개: 진화하는 삼성전자 TV 스마트 서비스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