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전자가 2021년부터 OLED 패널을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이미 알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이 OLED 패널이 삼성전자는 퀀텀닷을 가미한 QD-OLED라고 아시는 분들은 아실 거구요. 그리고 삼성전자의 패널 제조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생산 수율이 낮아서 엘지 디스플레이의 WOLED를 23년부터 공급받기 시작했습니다.
WOLED
- 엘지디스플레이가 제조하며 삼성전자, 엘지전자, 소니, 파나소닉, 비지오, 스카이워스 등 20개가 넘는 TV 제조사가 공급받아 OLED TV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흰색 픽셀을 광원으로 하여 그 위에 RGB 컬러필터를 배치해서 색상을 만듭니다.
- QD-OLED에 비해서 밝기에서 불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W-OLED 메타 테크놀러지 2.0의 경우 3000니트까지 밝기를 올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삼성전자는 QD-OLED에 비해서 번인이 취약하다고 일방적으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 QD-OLED에 비해서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QD-OLED
- 삼성전자가 QLED와 OLED와 경쟁에서 패함을 인정하고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가 2021년부터 생산한 제품입니다.
- 블루 픽셀을 광원으로 하고 퀀텀닷으로 색깔을 만듭니다.
- 화이트 광원에 비해서 블루 광원이 전력소비가 적고 빛 손실이 줄어 생생한 빛과 밝기 표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삼성전자는 WOLED에 비해서 번인에 강하다고 했지만 알팅스의 실제 테스트로는 WOLED 보다 번인이 더 빨랐다고 전해집니다.
- 삼성전자 및 소니, 샤프 등에서 QD-OLED를 공급받아 TV를 생산합니다.
- 수율이 좋지 않아서 WOLED에 비해서 아직 대량생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반응형
삼성전자 OLED TV
- 낮은 수율 등의 이유로 QD-OLED 생산량이 많지 않은 반면 수요는 더 많으니 어쩔 수 없이 엘지디스플레이의 WOLED 받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 삼성전자는 엘지디스플레이로부터 5년간 500만장의 WOLED 패널을 공급 받는 계약을 맺었습니다.
- QD-OLED 패널은 주로 55인치, 65인치, 77인치 제품에 사용되었습니다.
- WOLED는 대표적으로 83인치, 42인치, 48인치에 사용되며, 55인치, 65인치, 77인치 S90D 제품에는 QD-OLED와 섞여서 사용된다고 합니다.
결론
원래 WOLED 제품을 탑재한 제품을 따로 라인업을 만들어서 시판한다고 했다가 경영진들의 주장에 따라서 섞어 만들기로 선회했다고 합니다. QD-OLED가 WOLED 제품보다 더 나은 패널이다라고 해놓고 자사 주력 제품에 WOLED를 섞어서 제품을 만든다고 하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기를 당한 느낌일 수 있습니다. 나쁜 말로 하면 싼 패널을 쓰고도 기존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결재를 강요하는 것이죠. 패널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도 제시되지 않고 있고, 제품마다 표시를 하는 것도 아니고... 현재는 삼성전자 S90D OLED를 사면 QD-OLED 제품인지 WOLED 제품인지 알수가 없으니 복불복입니다.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OLED TV Self-illuminating Pixels(자발광 픽셀)은 엘지만? (0) | 2024.12.28 |
---|---|
삼성전자 OLED TV에 적용된 HDR 기술들 OLED HDR + OLED HDR Pro (0) | 2024.12.27 |
알쏭달쏭 TV 용어 QNED 크리스털UHD 울트라UHD OLED 4K 8K 나노셀 QLED LEDTV LCDTV (0) | 2024.12.26 |
안드로이드TV, 안드로이드 버전과 구글TV 버전이 왜 다르나? 구글TV 5.0? (0) | 2024.12.26 |
LG QNED evo OLED evo는 특별한가요? (0) | 2024.12.24 |